SA
메인 내용으로 이동

조성문의 블로그

모바일의 미래 – 웹(Web)인가 앱(App)인가?

  • 가장 큰 한계는 속도이다. 앱에서는 아이패드에 이미 최적화된, 필요한 컨텐트만 서버에서 바로 받아와 화면에 그리면 되지만, 원래 데스크탑을 목표로 해서 만들어진 웹페이지는 로딩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 최근에는 많은 경우 클라이언트에 따라 다른 정보를 전송하기는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forward와 backward를 반복하다보면 확실히 앱에 비해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은 사실이다. 네이티브 앱의 경우 아래에서 네 번째 단계에 있는 "Transport Layer"를 통해 정보를 전송한다. 하지만 웹의 규약인 HTTP 프로토콜은 가장 윗단계인 "Application Layer"를 통해 정보를 전송한다. 그만큼 전송해야 할 정보가 많아질 수밖에 없다. 게다가 HTTP는 매번 페이지를 로드할 때마다 접속했다가 접속을 끊는데, 이렇게 연결을 설정하고 해제하는데 시간이 상당히 많이 걸린다. 여기에 또 한가지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화면에 그리는 속도이다. 브라우저가 화면에 표현하는 속도는 웹킷(WebKit)과 자바스크립트 엔진의 성능에 의존하는데, 아직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

SPA가 등장하면서 이 문제는 해결됐다.

  • 두 번째 한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예를 들면 웹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두 손가락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하는 멀티 터치를 지원하지 않거나 지원하더라도 웹페이지 자체를 스크롤하는 기능과 섞여서 조작이 다소 불편하다. 또 하나는 롱 클릭(long click)인데, 예를 들어, 아마존 킨들(Amazon Kindle) 앱의 경우 단어를 길게 누르고 있으면 노트를 입력하거나 하이라이트할 수 있는 메뉴가 뜨지만, 웹 기반에서는 길게 누르고 있으면 브라우저가 디폴트로 제공하는 "Copy"라는 메뉴가 뜰 뿐이고, 개발자가 이걸 바꿀 수 없다.

이 부분은 아직 유효하다.

  • 세 번째로, 하드웨어 접근이다. 웹 페이지에서 GPS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를 불러올 수는 있지만, 카메라를 시작시킨다든지, 컴파스 정보를 가져온다든지, 단말기에 저장된 사진을 불러온다든지 하는 것은 아직은 불가능하다. 많은 애플리케이션들이 이것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 앱의 경우 웹으로는 동일한 경험을 제공해줄 수 없다.

이 문제는 해결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