앰비언트 컴퓨팅을 향해
영구 기억 장치(Eidetic Memory Devices)의 역사
1945년 미국의 과학자 버니바 부시는 자신의 에세이 As You May Think에서 Memex(메멕스)라는 기기를 고안했다. 한 개인이 나눈 모든 대화, 기록, 통신을 압축하여 기계적으로 저장하고 그 기록들을 재빨리 불러올 수 있다면 메멕스를 통해 기억의 확장이자 증강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개념이다. 기억을 촘촘하게 연결하고 보강한다면 사람의 사고를 도울 수 있다는 점에서, 버니바 부시는 인터넷을 처음으로 상상했다는 평을 받는다. 당시는 에니악이 등장하기도 전이었다는 생각하면 이 얼마나 혁명적인 아이디어였는지 엿볼 수 있다.
2013년, 현존 최고 의 SF 작가 중 한 명인 테드 창은 자신의 소설 "사실적 진실, 감정적 진실"에서 또다른 형태의 기억 보조 장치를 상상한다. 가까운 미래에 한 기자가 "리멤"이라는 기기를 통해 생활의 모든 것을 기록하고 실시간으로 불러오는 경험을 한다. 구전으로만 역사를 전수하던 민족이 처음으로 "문자"를 발명하게 되며 발생하는 역학 구도의 파급력을 비교한다. "리멤"과 같은 개인용 영구적 기억 장치가 개발된다면, 마치 메멕스가 인터넷으로 실체화된 것처럼, 엄청난 격변이 일어날 것임을 상상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일들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선사시대 라이프로그
1994년, 스티브 만은 웨어러블 카메라와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해 자신이 보고 있는 것을 실시간 생중계 했다. 1998년, 이는 "라이프로깅"이라는 장르로 태동했다. 이후 기기는 점점 축소화됐다. 그러다가 스마트폰이 등장하며, 대부분의 라이프로깅 기기는 시장에서 사장되었다. 기존의 수요는 본인의 기억을 증진한다는 목적보다는 사람들에게 실시간으로 무언가를 중계하는 것에 있었으며, 스마트폰은 "목적을 가지고" 모든 것을 송출하는 사람들에게는 최고의 기기였기 때문이다. 때문에 라이프로거들은 전문 기기를 버리고 스마트폰으로 넘어갔으며, 스트리머라는 새로운 직종을 탄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라이프로깅은 "더 많이 기억할 수 있도록" 목적을 변경하였다
스마트폰에 의한 방송을 위한 시장을 뺏기자 라이프로깅 기기는 더더욱 축소되어 기억을 보조하는 디바이스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한 예시로 2013년 Memoto 사의 내러티브 클립이 있다. 이 기기는 30초마다 사진을 찍어 하루를 기록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그러면 하루에 수천장의 사진이 나오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데이터 홍수 속 유의미한 정보를 찾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2016년, 조금 더 발전한 형태의 Google Clip이 등장했다. 구글의 인공지능으로 "기록할 만한" 순간이 지나간다면 사진을 찍는 카메 라였다. 구글이 늘상 하는 일이 그렇듯이 조용히 출시되어 조용히 사장되었다.
LLM 라이프로깅의 시작
이들은 주로 몸에 부착하는 초소형 카메라의 형태로 존재했다. 가장 큰 이유는 녹음을 이용한 요약은 마땅히 정리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모두가 알다시피 ChatGPT가 등장했다.
LLM 영구 기억 장치로의 유의미한 최초의 시도는 2022년 11월 Rober Dam이 제작한 Wisper이다. 그는 휴대폰 앱으로 자신을 항상 녹음해 LLM을 이용한 정리를 시도했고, 완벽한 기억과 개인용 "심리학자"를 가질 수 있다는 장점으로 꼽았다 (자신의 모든 대화에서 감정 분석을 실행해서 감정을 모니터링했다). 하지만 휴대전화를 사용한다는 특성 상 한계가 명확했다. 소프트웨어를 상시 구동해야하는데, 성능과 배터리 문제가 적나라하게 나타났다. 이제 결론은 전용 기기를 만들거나, 스마트폰 OS에 네이티브하게 통합되는 일 밖에 없었다.